맨위로가기

안네의 일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네의 일기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치하에서 은신 생활을 한 유대인 소녀 안네 프랑크가 쓴 일기이다. 이 일기는 1942년 6월 12일부터 1944년 8월 1일까지의 기록을 담고 있으며, 안네의 성장 과정, 가족에 대한 감정, 은신처 생활의 고통과 희망 등을 솔직하게 담아내고 있다. 일기는 가상의 친구 '키티'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으로 작성되었으며, 아버지 오토 프랑크에 의해 편집되어 출판되었다. 안네의 일기는 연극, 영화,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었으며, 진위 여부에 대한 논쟁과 저작권 문제, 그리고 일부 국가에서의 금서 지정 등 다양한 사회적, 문화적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7년 책 - 도구적 이성 비판
    《도구적 이성 비판》은 막스 호르크하이머가 쓴 저서로, 현대 사회의 주관적 이성을 도구적 이성으로 정의하고, 실증주의와 실용주의를 비판하며 객관적 이성의 회복을 통해 주관적 이성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 유대 문학 - 위경
    위경은 실제 저자가 아닌 다른 인물의 이름으로 쓰인 문서나 저작물을 지칭하는 용어로, 성경 연구에서는 특정 권위자가 쓴 것으로 여겨지는 작품을, 현대에는 정경이나 외경에 포함되지 않는 문서를 포괄적으로 지칭하며 문학 작품에서 허구성을 강조하는 기법으로도 사용된다.
  • 유대 문학 - 유대인 유머
    유대인 유머는 역사, 문화, 사회적 경험을 반영하여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사회적 긴장 해소와 억압된 감정 표현의 기능, 그리고 유대인의 정체성과 문화를 드러내는 다양한 소재와 유형을 포괄한다.
  • 네덜란드의 책 - 중세의 가을
    《중세의 가을》은 요한 호이징아가 중세 말기의 사회, 문화, 정신세계를 연대기 작가와 주요 인물들의 기록을 통해 분석하고, 삶의 불안정성, 폭력성, 종교적 열정, 예술의 변화 등을 조명하며 중세에서 르네상스로의 이행을 탐구한 저서이다.
  • 네덜란드의 책 - 에티카
    에티카는 스피노자가 기하학적 방법으로 신, 정신, 감정, 인간의 예속과 자유를 고찰하고 인간의 윤리 문제를 다루며 범신론, 결정론, 코나투스 개념을 통해 인간의 감정과 이성, 자유에 이르는 길을 탐구한 철학 저서이다.
안네의 일기 - [서적]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원제Het Achterhuis (헤트 아흐터르하위스)
번역 제목'The Diary of a Young Girl (젊은 소녀의 일기), The Diary of Anne Frank (안네 프랑크의 일기)'
저자안네 프랑크
삽화가헬무트 살덴
언어네덜란드어
장르자서전
유대인 문학
출판사(콘탁트 출판)
출판일1947년 6월 25일
영어 출판일1952년
내용
주제제2차 세계 대전
나치 독일의 네덜란드 점령
배경(헤트 아흐터르하위스. 1942년 6월 14일 – 1944년 8월 1일의 일기 편지)
등장인물Kitty (키티) (가상의 친구, 일기 대상)
수상
수상 내역르 몽드 선정 20세기 최고의 책 100권

2. 내용

안네 프랑크는 1942년 6월 12일, 13번째 생일에 일기장을 선물로 받았다.[8][9] 이 빨간색 체크무늬 방명록은 안네가 아버지와 함께 전날 서점에서 직접 고른 것이었다.[9] 안네는 일기장에 "아무에게도 털어놓을 수 없었던 모든 것을 당신에게 털어놓을 수 있기를 바라며, 당신이 큰 위로와 지원이 되기를 바랍니다."라고 적으며[10][11], 6월 14일부터 본격적으로 일기를 쓰기 시작했다.[12][13]

일기는 1942년 6월 12일부터 1944년 8월 1일까지의 기록을 담고 있으며,[87] 일부는 은신 생활 이전의 내용을 포함하지만 대부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네덜란드에서 나치의 박해를 피해 숨어 지낸 2년여 간의 은신 생활을 다룬다. 1942년 7월 5일 언니 마고트에게 강제 수용소 소환장이 발부되자, 다음 날인 7월 6일 안네와 마고트, 부모님 오토, 에디트암스테르담에 있는 오토의 회사 건물 뒤편 별관의 은신처(안네는 Het Achterhuis|헤트 아흐터르하위스nld, 즉 "뒤편 집"이라 불렀다)로 숨어들었다.[14][15] 이후 오토의 사업 동료였던 헤르만 판 펠스, 그의 아내 아우구스테, 아들 페터가 합류했으며(출판본에서는 '판 단 가족'으로 표기됨), 나중에는 치과의사 프리츠 페퍼(출판본에서는 '알베르트 뒤셀')도 함께 생활했다.[14][17][18] 이들 8명은 미프 히스, 베프 포스퀴일 등 조력자들의 도움으로 약 2년 1개월간 발각되지 않고 숨어 지냈다.[16][17][18]

안네는 일기 속에서 은신처 생활의 어려움, 예를 들어 기침 소리조차 내기 힘든 극도의 긴장감과 제약 등을 생생하게 묘사했다. 또한 아버지와의 친밀한 관계, 어머니와의 거리감, 언니에 대한 존경심 등 가족 관계에 대한 솔직한 생각과, 다른 은신자들과의 복잡한 관계(특히 아우구스테 판 펠스와 방을 함께 쓴 프리츠 페퍼에 대한 초기 반감, 페터와의 관계 변화 등)를 기록했다. 사춘기 소녀로서 겪는 내면의 성장과 고민, 전쟁과 홀로코스트라는 극한 상황 속에서도 희망을 찾으려는 노력 등이 담겨 있다.

안네는 일기를 '키티(Kitty)'라는 가상의 친구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으로 썼다. 초기에는 다른 이름들도 사용했지만(이는 시시 판 마르크스벨트의 소설 등장인물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됨[25]), 점차 키티에게만 편지를 쓰는 방식으로 정착했다. 안네는 진정한 친구를 갈망했으며, 자신의 가장 깊은 생각과 감정을 털어놓을 대상으로 키티를 설정했다. 1944년 3월 29일, 망명 중이던 네덜란드 교육부 장관 게릿 볼케스테인이 라디오 방송을 통해 전쟁 중 평범한 사람들의 기록(일기, 편지 등) 보존을 촉구하는 것을 듣고 문학적 야망을 키웠다.[22] 1944년 5월 20일부터는 미래의 독자를 염두에 두고 일기를 다시 쓰는 작업(B 버전)을 시작했으며, 내용을 추가하거나 다듬고 가명을 사용하는 등 편집을 가했다.[26] 따라서 안네의 일기 원고는 초기에 작성된 A 버전(일부 분실됨)과 안네 자신이 수정한 B 버전, 두 가지 형태로 존재한다.[21]

1944년 8월 4일, 은신처는 누군가의 밀고를 받고 출동한 암스테르담 주둔 보안 경찰 (SD) 소속 카를 요제프 질버바우어 친위대 상사와 네덜란드인 나치 당원들에 의해 발각되어 8명 전원이 체포되었다. 체포 원인으로는 밀고가 오랫동안 정설로 여겨졌으나, 배급 사기 단속 중 우연히 발각되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19] 체포된 8명 중 오토 프랑크만이 전쟁에서 살아남았고, 안네는 1945년 2월 또는 3월경 베르겐-벨젠 강제 수용소에서 장티푸스로 사망했다.[20]

1947년에 콘탁트사에서 발매된 책


체포 후 보안 경찰이 떠나자 미프 히스와 베프 포스퀴일은 바닥에 흩어진 안네의 일기 원고를 수습했다.[22][23] 전쟁이 끝나고 유일하게 생존한 오토 프랑크에게 이 원고가 전달되었고, 그는 일부 내용을 편집하여 1947년 네덜란드 콘탁트 출판사에서 Het Achterhuisnld라는 제목으로 처음 출간했다.[24] 이후 일기는 세계적인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1995년에는 무삭제 원고가 한국어로 완역되어 문학사상사에서 출판되었다.

안네의 일기는 2009년 유네스코 세계의 기억(세계 기록 유산)에 등재되었다.[88]

3. 등장인물

안네 프랑크는 일기를 '키티'라는 가상의 친구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으로 썼다. 오랫동안 키티가 실존 인물인지, 누구에게서 영감을 받았는지에 대한 추측이 많았다. 1996년 평론가 시에트세 판 데르 호크는 안네의 전쟁 전 친구였던 키티 에제디를 지칭한다고 주장했다.[27] 그러나 안네는 일기에서 에제디를 직접 언급하지 않았고, 실제 친구에게 쓴 편지 형식은 1942년 9월 자클린 판 마르센에게 보낸 두 개의 작별 편지뿐이다. 테오도르 홀먼과 자클린 판 마르센은 키티가 허구의 인물이라는 데 동의했지만, 아버지 오토 프랑크는 딸이 실제 지인을 염두에 두었을 것이라 생각했다. 키티 에제디 본인은 자신일 가능성에 대해 기쁘게 생각하면서도 "키티는 너무 이상화되었고 일기에서 자신의 삶을 살기 시작했기 때문에 '키티'가 누구를 의미하는지는 더 이상 중요하지 않게 되었다. 그 이름은... 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28]

실제로 안네는 일기 초반에 키티 외에도 여러 가상의 수신자에게 편지를 썼다. 이 이름들 중 상당수는 안네가 당시 읽었던 시시 판 마르크스벨트의 소설 속 등장인물 이름과 일치하며, 특히 '키티 프랑켄'이라는 십 대 소녀가 등장하는 서간체 소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1942년 말부터 안네는 오직 키티에게만 글을 썼고, 1943년 일기를 수정하며 모든 수신자를 키티로 통일했다.

안네는 일기 서문에서 자신의 가장 깊은 생각과 감정을 털어놓을 수 있는 진정한 친구를 갈망한다고 밝혔다. 많은 친구와 추종자가 있었지만 속마음을 나눌 진정한 친구는 없다고 느꼈다. 은신 생활 초기에는 페터 판 펠스에게 큰 인상을 받지 못했지만, 점차 가까워지며 많은 시간을 함께 보냈다. 안네는 페터가 진정한 친구가 될 수 있기를 바랐으나, 1944년 7월 15일 일기에는 그가 결코 '정신적 동반자'가 될 수 없다고 쓰며 실망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그럼에도 안네는 페터를 계속 아꼈으며, 결국 자신의 가장 깊은 생각은 오직 키티에게만 털어놓게 되었다.

일기에는 안네 자신을 포함하여 암스테르담 프린센흐라흐트 263번지의 은신처에서 함께 생활한 7명의 유대인 동거인과 그들의 생활을 도운 조력자들이 주요 인물로 등장한다. 안네는 일기 속에서 아버지와의 친밀한 관계, 어머니와의 거리감, 언니 마르고트에 대한 존경심 등을 솔직하게 표현했다. 또한, 아우구스테 판 펠스나 프리츠 페퍼 등 다른 은신처 식구들과의 갈등이나 관계 변화에 대해서도 기록했다. 이들 각 인물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은신처 동거인

주요 등장인물은 안네 프랑크와 함께 암스테르담 프린센흐라흐트 263번지의 은신처(Het Achterhuis|헤트 아흐터하위스nl)에 숨어 지낸 7명의 동거인이다.

이름관계일기 속 가명최후
안네 프랑크일기 저자안네 아울리스(Anne Aulis), 안네 로빈(Anne Robin)베르겐-벨젠 강제 수용소에서 발진티푸스로 사망.
오토 프랑크안네와 마르고트의 아버지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 등에서 수감되었으나 종전까지 생존하여 유일한 생존자가 됨.
에디트 프랑크안네와 마르고트의 어머니, 오토의 아내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에서 사망.
마르고트 프랑크안네의 언니베르겐-벨젠 강제 수용소에서 사망.
페터 판 펠스판 펠스 부부의 아들, 안네와 교류알프레트 판 단(Alfred van Daan)마우트하우젠 강제 수용소에서 사망.
헤르만 판 펠스페터의 아버지한스 판 단(Hans van Daan)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에서 사망.
아우구스테 판 펠스페터의 어머니, 헤르만의 아내페트로넬라 판 단(Petronella van Daan)아우슈비츠를 시작으로 최소 5개의 수용소를 전전하다 사망 (정확한 사망 장소 불분명).
프리츠 페퍼치과의사, 안네와 방을 공유알베르트 뒤셀(Albert Dussel)노이엔감메 강제 수용소에서 사망.



1944년 8월 4일 오전, 은신처에 숨어 있던 8명의 유대인은 누군가의 밀고로 출동한 암스테르담 주둔 보안 경찰(SD)에게 체포되었다. 체포된 8명 중 오토 프랑크만이 전쟁에서 살아남았고, 안네를 포함한 나머지 7명은 각자 이송된 강제 수용소에서 사망했다.

3. 2. 조력자

오토 프랑크의 회사 동료였던 미프 히스와 베프 포스퀴일, 그리고 사업 파트너였던 빅토르 쿠글러와 요하네스 클레이만은 프랑크 가족을 포함한 은신처의 유대인들을 헌신적으로 도왔다. 이들은 발각될 경우 자신들도 처벌받을 위험을 감수하며 은신 생활을 지원했다.

1944년 8월 4일 오전, 익명의 밀고를 받은 나치 독일의 보안 경찰(SD)이 은신처를 급습했다. 이 과정에서 친위대 상사 카를 요제프 질버바우어가 이끄는 경찰관들은 은신 중이던 유대인 8명 전원을 체포했으며, 이들을 돕던 빅토르 쿠글러와 요하네스 클레이만도 함께 연행되었다. 그러나 여성 조력자였던 미프 히스와 베프 포스퀴일은 현장에서 체포되지 않았다.

보안 경찰이 떠난 직후, 미프 히스와 베프 포스퀴일은 은신처 바닥에 흩어져 있던 안네의 일기장과 기록들을 발견하고 안전하게 수습했다. 이들이 보관한 기록들은 전쟁 후 유일한 생존자인 오토 프랑크에게 전달되었고, 이는 훗날 『안네의 일기』가 세상에 나올 수 있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4. 출판 역사

안네 프랑크가 쓴 일기에는 두 가지 주요 버전이 존재한다. 첫 번째는 안네가 1942년 6월 12일 13번째 생일 선물로 받은[8][9] 빨간 체크무늬 일기장과 이후 두 권의 공책에 직접 쓴 원본(버전 A)이다. 1944년 3월 29일, 망명 중인 네덜란드 정부의 교육부 장관 게릿 볼케스테인이 라디오 방송을 통해 전쟁 중 경험을 담은 일기나 편지 등을 보존할 것을 촉구하는 연설을 듣고, 안네는 문학적 야망을 키우게 되었다.[22] 이후 1944년 5월 20일부터 미래의 독자를 염두에 두고 기존 일기를 낱장 종이에 다시 쓰는 작업(버전 B)을 시작했다.[26] 버전 B는 버전 A를 바탕으로 내용을 확장하고 일부를 수정했으며, 등장인물들에게 가명을 사용하는 등 편집이 가해졌다.

안네 사후, 은신처에서 미프 기스와 베프 보스쿠윌이 발견하여 보존한[22] 일기 원고는 1945년 7월, 안네의 사망이 확인된 후 아버지 오토 프랑크에게 전달되었다.[24] 오토 프랑크는 처음에는 스위스에 있는 친구와 친척들을 위해 일기를 독일어로 필사했다. 주변의 권유로 출판을 결심한 그는 버전 A와 B, 그리고 안네가 쓴 다른 에세이들을 조합하고, 가족 친구가 쓴 후기를 덧붙여 출판용 초고를 만들었다.[56]

1946년 봄, 이 초고는 네덜란드 역사학자 얀 로메인 박사와 그의 아내 애니 로메인-페르쇼르의 주목을 받았다. 애니가 출판사를 찾는 데 실패하자, 얀 로메인은 1946년 4월 3일 네덜란드 신문 Het Parool|헤트 파롤nld에 "어린이의 목소리"(Kinderstem|킨더르스템nld)라는 제목으로 일기를 소개하는 글을 기고했다.[31]

> 이 아이의 겉으로는 사소한 일기, 아이의 목소리로 더듬거리며 말하는 이 "깊은 곳에서"는 뉘른베르크의 모든 증거를 합친 것보다 파시즘의 모든 끔찍함을 더 잘 보여준다.

> — 1946년 4월 3일, 얀 로메인, Het Parool|헤트 파롤nld 기고문 "어린이의 목소리" 중[31]

이 기사를 통해 암스테르담의 콘탁트 출판사(Uitgeverij Contact|아웃헤베레이 콘탁트nld)가 관심을 보였고, 오토 프랑크에게 네덜란드어 원고를 요청했다. 출판사는 안네의 성(性)적 호기심에 대한 솔직한 묘사가 일부 보수적인 독자들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고 조언하며 해당 부분과 초기 일부 내용의 삭제를 제안했다. 이렇게 편집된 일기는 1947년 6월 25일 Het Achterhuis. Dagbrieven van 14 juni 1942 tot 1 augustus 1944|헷 아흐터르하위스. 다흐브리번 판 14 유니 1942 톳 1 아우휘스터스 1944nld (비밀의 별관. 1942년 6월 14일부터 1944년 8월 1일까지의 일기 편지)라는 제목으로 네덜란드에서 처음 출간되었다.[31] 초판 3,000부가 매진되는 등 큰 성공을 거두었고, 1950년에는 6판이 발행되었다.

1986년 네덜란드 전쟁 문서 연구소(NIOD)는 안네의 원본(A 버전)과 개정본(B 버전)을 모두 포함하고, 내용 비교 분석 및 진위 여부 논쟁에 대한 연구 결과를 담은 학술적인 비평판(Critical Edition)을 출간했다. 이 판에는 이전에 오토 프랑크가 편집 과정에서 삭제했던 안네의 성적 관심사, 월경 등에 대한 일부 내용이 복원되었다. 총 714쪽 분량으로 3권으로 출판되었다.[32] 1995년에는 안네가 자신의 신체 탐구, 성과 출산에 대해 궁금해하는 내용 등 초판 출판 과정에서 삭제되었던 구절들이 추가로 복원된 무삭제판(Unabridged Edition 또는 Definitive Edition)이 출간되었다.[51][52]

1999년에는 안네 프랑크 재단의 전 이사 코르넬리스 수이크가 오토 프랑크가 출판 전 삭제했던 다섯 쪽의 원고를 공개했다. 이 부분에는 부모의 불안정한 결혼 생활에 대한 안네의 비판적인 시각과 어머니에 대한 애정 부족을 토로하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53] 약간의 논란 끝에 이 원고는 2001년 네덜란드 전쟁 문서 연구소에 반환되었고 이후 판본에 포함되었다.[54] 2018년에는 안네가 직접 갈색 종이로 가려두었던 성(性), 매춘, 그리고 안네 자신이 "지저분한 농담"이라고 표현한 내용에 관한 미공개 구절들이 추가로 발견되어 공개되었다.[55]

일기는 1950년 독일어프랑스어로 번역되었고, 1952년 미국영국에서 바바라 무야르트-더블데이가 번역한 영어판(''Anne Frank: The Diary of a Young Girl'')이 엘리너 루즈벨트의 서문과 함께 출간되어 베스트셀러가 되었다.[39] 1989년에는 영어 비평판이, 1995년에는 수잔 매소티의 새로운 영어 번역본이 출판되었다. 이후 전 세계 여러 언어로 번역되어, 2019년 기준으로 70개 이상의 언어로 출판되었다.[42] 2018년에는 아리 폴만과 데이비드 폴론스키에 의해 그래픽 노블로 각색되기도 했다.[38]

대한민국에서는 1952년 범우사에서 '사루비아 문고' 시리즈의 하나로 처음 출판되었고, 1995년 문학사상사에서 네덜란드어 원본을 완역하고 삭제된 부분을 복원한 무삭제판이 출간되었다.

일기의 진위 여부에 대한 논란이 과거에 있었으나, 1960년1981년의 문서 감정, 그리고 네덜란드 전쟁 문서 연구소의 과학적 조사(사용된 잉크, 종이, 필적 감정 등)를 통해 안네 프랑크 본인이 작성한 원본임이 확인되었다. 편집 과정에서 일부 내용이 삭제되거나 수정되었지만, 이러한 편집이 일기의 본질적인 가치를 훼손하지는 않는다는 것이 일반적인 평가이다. 1990년 독일 함부르크 지방 법원 역시 원본 필적이 안네의 것임을 인정했다.

5. 진위 여부 논쟁

안네 프랑크가 유명해지면서, 홀로코스트 부인론자들은 안네의 일기가 허구이며 안네는 실존하지 않았거나 일기의 내용이 부친 오토 프랑크에 의해 날조된 것이라는 주장을 제기했다. 오토 프랑크가 일기를 출판하면서 사춘기 소녀의 성적 호기심, 어머니에 대한 비판 등 일부 내용을 삭제하거나 수정한 점이 이러한 주장의 빌미가 되기도 했다.

1958년 홀로코스트 부인론자들이 "안네가 실존했다면 안네를 체포한 사람을 찾아내라"고 주장하자, 나치 전범 추적자로 유명한 지몬 비젠탈은 조사를 시작했다. 그는 1963년 게슈타포 출신으로 네덜란드에서 친위대 보안국(SD) 상사였던 카를 질베바우어를 찾아내 안네가 실존했음을 증명했다. 질베바우어는 인터뷰에서 안네 프랑크의 사진을 보고 자신이 체포한 소녀임을 확인했으며, 은신처에서 안네의 일기장을 발견했던 상황 등 그의 진술은 오토 프랑크의 증언과 일치했다.

이후에도 홀로코스트 부인론자들의 주장은 계속되었다. 1959년 전 히틀러 유겐트 출신 교사 로터 슈티라우가 일기가 날조라는 내용을 퍼뜨리자 오토 프랑크는 소송을 제기했고, 1960년 법원은 일기가 진본이라고 판결했으며 슈티라우는 주장을 철회했다. 1970년대에는 영국의 홀로코스트 부인론자 데이비드 어빙이 일기가 위조라고 주장했다. 1976년 프랑크푸르트에서 하인츠 로스가 일기가 위조되었다는 팜플렛을 배포하자 오토 프랑크는 다시 소송을 제기했고, 법원은 로스에게 추가적인 주장 발표 시 50만 독일 마르크의 벌금과 6개월의 징역형을 부과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 같은 해, 네오나치주의자 에른스트 뢰머와 에드거 가이스가 유사한 주장을 하다 체포되면서 논쟁은 더욱 격화되었다.

뢰머와 가이스의 재판 과정에서 1978년, 독일 내무성 소속 연방범죄수사국(BKA)은 원본의 종이와 잉크에 대한 과학적 분석을 의뢰받았다. BKA는 "일기 작성에 사용된 잉크는 전쟁 중의 것이지만, 나중에 수정된 부분은 흑색, 녹색, 청색 볼펜으로 기록되었다"는 취지의 보고서를 제출했다. 볼펜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50년대에 널리 보급되었기 때문에, 일기의 진위를 의심하는 사람들은 이를 결정적인 증거로 받아들였다.

그러나 1986년 일기 원본을 보관하고 있는 네덜란드의 전시자료 연구소(NIOD)는 보다 상세한 과학적 조사를 진행하여 BKA의 보고서가 잘못되었음을 밝혔다. NIOD는 BKA 측에 볼펜으로 수정된 부분을 구체적으로 지적해달라고 요청했으나 BKA는 이를 제시하지 못했다. NIOD의 자체 조사 결과, 안네의 일기 원본에는 볼펜 흔적이 없었으며, 다만 일기 원고 사이에 끼워져 있던 별도의 메모 용지 두 장에서 볼펜 흔적이 발견되었다. 1987년 필적 감정 전문가 한스 오클먼은 이 메모가 그의 어머니 도로시 오클만이 이전에 일기를 연구하면서 작성한 것임을 밝혀냈다. 이로써 볼펜 사용을 근거로 한 위조 주장은 설득력을 잃었다.

NIOD는 종합적인 과학 조사를 통해 원본에 사용된 종이, 잉크, 풀 등이 당시 암스테르담에서 구할 수 있었던 것과 일치하며, 필적 또한 안네의 것임을 확인하여 일기가 진본임을 최종적으로 증명했다. 1990년 함부르크 지방 법원 역시 원본의 필적이 안네 본인의 것이라고 판결하며 진본임을 재확인했다. 이러한 과학적 검증과 법적 판결에도 불구하고 일부 홀로코스트 부정론자들은 여전히 진위 논란을 제기하기도 한다.

6. 문학에서의 언급

소설가 가람 이병주는 역사소설 그를 버린 여인에서 박정희 군사독재정권의 권위주의폭력을 비판하는 소재로 《안네의 일기》와 나치 독일의 유대인 학살을 인용했다.

7. 각색

미국의 작가 마이어 레빈이 쓴 첫 번째 희곡은 제작자를 찾지 못했으며, 오토 프랑크 역시 레빈의 작품에 대해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다.

오토는 처음에 프랜시스 굿리치와 앨버트 해켓이 쓴 두 번째 희곡에도 그다지 만족하지 않았다. 이 부부가 대본을 2년 동안 수정한 후에야 오토는 작품을 승인했다. 일기 내용을 바탕으로 한 앨버트 해켓과 프랜시스 굿리치의 희곡은 1955년 퓰리처상을 수상했다. 이후 제작된 영화 버전은 배우 셸리 윈터스에게 아카데미상을 안겨주었다. 윈터스는 자신의 오스카상을 암스테르담의 안네 프랑크 하우스에 기증했다.

2014년 암스테르담 극장에서 상연된 ''안네''의 무대 세트, 오른쪽에 비밀의 별채가 재현되어 있다.


일기에서 직접적인 구절을 인용한 첫 번째 주요 각색 작품은 2014년의 ''안네''로, 바젤의 안네 프랑크 재단이 승인하고 시작했다. 네덜란드에 특별히 지어진 암스테르담 극장에서 2년간 공연되었으며, 이후 독일[45]과 이스라엘에서도 상연되었다.

일기의 다른 각색 작품으로는 1997년 웬디 케셀만이 쓴 버전이 있다.[46] 알릭스 소블러의 2014년 작품 ''비밀의 별채''는 안네 프랑크가 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은 세계를 상상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47]

프레드 브라이너스도퍼가 각본을 쓴 일기의 첫 번째 독일 영화 버전은 2016년 NBCUniversal에 의해 개봉되었다. 이 영화는 2014년 네덜란드 연극 ''안네''를 기반으로 한다.

2018년, 홀로코스트 생존자의 아들인 아리 폴만은 데이비드 폴론스키가 그림을 그린 그래픽 노블로 ''어린 소녀의 일기''를 각색했다.[38] 2021년, 폴만은 프랑크의 삶을 바탕으로 한 애니메이션 영화 ''안네 프랑크는 어디에''를 감독했다. 이 애니메이션은 폴만의 2018년 그래픽 노블 각색 작품에 대한 폴론스키의 삽화를 본떠 스타일을 만들었다. 영화는 프랑크가 일기에 썼던 상상의 친구 키티가 21세기 네덜란드에서 살아나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한다. 키티는 프랑크 가족의 운명을 알게 되면서, 그들의 곤경이 현대 난민들의 곤경과 유사함을 깨닫고 난민들의 망명 신청을 돕는다.

이 외에도 시드 제이콥슨과 어니 콜론의 그래픽 전기 ''안네 프랑크의 일기''(2010, Uitgeverij Luitingh)가 있으며, 마르쿠스 파우스가 프랑크의 일기를 바탕으로 작곡한 합창곡 ''아직 남아있는 아름다움'' 등이 있다. 이 합창곡은 노르웨이에서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70주년을 기념하여 제작되었다.

8. 저작권

오토 프랑크는 유언을 통해 일기 원본 원고를 네덜란드 전쟁 기록 연구소에 기증했다. 그러나 일기의 저작권은 1980년 오토 프랑크가 사망한 후, 그의 유일한 상속자이자 스위스 바젤에 기반을 둔 재단인 안네 프랑크 퐁드(Anne Frank Fonds)에 귀속됐다. 이 재단은 일기 출판 관련 권리를 관리한다.[82]

유럽 연합의 저작권법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저작자의 권리는 사후 70년이 지나면 소멸한다. 안네 프랑크는 1945년에 사망했으므로, 이 규정에 따라 『안네의 일기』 저작권은 2016년 1월 1일부로 만료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프랑스 낭트 대학교 강사 올리비에 에르체이드와 전 프랑스 국회 의원 이자벨 아타르는 이러한 주장을 바탕으로 2016년 1월 1일, 일기가 퍼블릭 도메인에 속한다며 원본 네덜란드어 판본을 온라인에 공개했다.[6][84][93]

하지만 안네 프랑크 퐁드(Anne Frank Fonds)는 저작권 연장을 주장하며 반박했다. 재단은 다음과 같은 근거를 제시했다.

# 오토 프랑크 공동 저작 주장: 2015년, 재단은 1947년판 일기가 오토 프랑크와의 공동 저작물이라고 발표했다. 오토 프랑크가 안네의 기록을 편집, 병합, 재구성하여 "일종의 콜라주"를 만들었으므로 새로운 저작권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지적 재산권 전문 변호사 아그네스 트리코이는 이러한 주장이 "수년간 안네 프랑크가 단독 저자라고 주장해온 사실과 모순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74]

# 미르얌 프레스러 편집 저작권: 1991년 '결정판'을 편집한 미르얌 프레스러가 2015년 당시 생존해 있었으므로, 그녀의 편집 작업으로 인해 또 다른 저작권이 발생하여 보호 기간이 연장된다고 주장했다.[74]

# 사후 출판 규정 적용: 네덜란드의 과거 사후 출판 규정(출판 후 50년 보호) 또는 현재 규정 해석에 따라, 1986년 네덜란드 전쟁 기록 연구소가 출판한 판본은 적어도 2037년까지 저작권이 보호된다고 주장했다.[7][83][93][94]

재단의 이러한 저작권 연장 시도는 비판에 직면했다. 이자벨 아타르는 이를 "단지 돈 문제"라고 비판했고,[84] 올리비에 에르체이드 역시 "일기는 모두의 것이며, 그 중요성을 판단하는 것은 각자의 몫"이라고 지적했다.[85]

한편, 위키소스에 게재되었던 『안네의 일기』는 위키미디어 재단미국의 사법 관할 하에 있어 디지털 밀레니엄 저작권법(DMCA)에 따라 2016년 2월 10일 삭제되었다.[95][96] 『안네의 일기』를 둘러싼 저작권 논쟁은 현재도 진행 중이다.

9. 기타

2009년, 안네의 일기 원본은 네덜란드의 신청으로 유네스코 세계의 기억(세계 기록 유산)에 등재되었다.[57][88]

2014년 2월, 일본 도쿄의 공공 도서관 31곳에서 《안네의 일기》와 홀로코스트 관련 자료 265권이 고의로 훼손된 채 발견되는 사건이 발생했다.[60][61] 시몬 비젠탈 센터는 이 사건에 대해 "충격과 깊은 우려"를 표명했으며,[62] 당시 스가 요시히데 일본 관방장관은 이를 "부끄러운 일"이라고 비판했다. 이스라엘 정부는 훼손된 도서를 대체할 수 있도록 《안네의 일기》 300권을 기증했다.[63] 이후 "스기하라 지우네"라는 가명을 사용한 익명의 기부자가 도쿄도립도서관에 홀로코스트 관련 서적 두 상자를 기증하기도 했다.[64] 경찰은 2014년 3월 용의자를 체포했으나,[65] 정신 감정을 거쳐 같은 해 6월 불기소 처분했다.[66] 도쿄의 사서들에 따르면, 《안네의 일기》와 같은 홀로코스트 관련 서적은 정신 질환을 앓는 사람들의 관심을 끌어 때때로 훼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고 전해진다.[67]

일부 국가에서는 《안네의 일기》의 내용을 문제 삼아 금서로 지정하거나 교육 현장에서 논란이 되기도 했다.


  • 2009년 레바논헤즈볼라는 이 책이 유대인, 시오니즘, 이스라엘을 옹호한다는 이유로 학교에서 금지할 것을 요구했다.[68]
  • 미국에서는 일부 지역에서 성적인 내용과 동성애 관련 묘사를 이유로 금서 지정 움직임이 있었다.
  • 2010년 미국 버지니아주 컬페퍼 카운티 교육청은 "성적인 내용과 동성애적 주제에 대한 불만" 때문에 《안네 프랑크: 젊은 날의 일기》 50주년 기념 "결정판"을 금지했다.[69] 이 판본에는 안네의 성적 호기심에 대한 묘사 등 이전에 삭제되었던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70] 논의 끝에 해당 판본은 도서관에 비치하되, 수업에서는 이전 판본을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 2013년 미국 미시간주 노스빌의 한 중학교 7학년 수업에서도 성적인 표현이 담긴 구절을 두고 유사한 논란이 발생했다.[71] 한 학부모는 책의 일부 내용이 "꽤 포르노그래피적"이라고 주장하며 공식적으로 문제를 제기했다.[72]
  • 미국 도서관 협회는 1990년부터 2010년까지 미국 내에서 《안네의 일기》에 대한 이의 제기가 6건 있었으며, 대부분 성적으로 노골적인 내용에 대한 우려였다고 밝혔다.[70]
  • 2023년 텍사스에서는 안네의 일기 삽화 각색본을 중학교 수업 자료로 사용한 교사가 "부적절한" 책을 학생들에게 제시했다는 이유로 해고되는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73]
  • 플로리다에서는 금서로 지정되어 있다.[98]


홀로코스트 생존자의 후손인 작가 다라 혼은 《안네의 일기》가 널리 읽히는 현상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녀는 일기 속 "모든 것에도 불구하고, 나는 여전히 사람들이 마음속으로 정말로 선하다고 믿는다"는 구절과 안네가 장티푸스로 비교적 평온하게 사망했다는 인식이 독자들에게 나치즘의 잔혹성에 대한 책임을 면하게 해준다고 지적했다. 또한 책의 인기가 강제 수용소의 참상에 대한 직접적인 묘사가 부족하기 때문일 수 있다고 주장하며, 가스실로 향하는 동료 유대인들의 마지막 모습과 시체 소각 과정을 기록한 잘멘 그라도프스키와 같은 다른 희생자들의 증언이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는 현실을 비판했다. 혼은 안네 프랑크 박물관 직원이 유대교 모자인 야물크 착용을 제지당했던 사례를 언급하며, 안네의 이야기가 소비되는 방식과 살아있는 유대인에 대한 무시 사이에 존재하는 아이러니를 지적했다.[58][59]

참조

[1] 뉴스 Top 10) definitive book(s) of the 20th century https://www.theguard[...]
[2] 웹사이트 50 Best Books defining the 20th century http://www.panmacmil[...] 2017-12-00
[3] 뉴스 List of the 100 Best Non-Fiction Books of the Century, #20 http://www.nationalr[...] 2009-07-28
[4] 서적 Books of the Century: War, Holocaust, Totalitarianism https://archive.org/[...] New York Public Library 1996-00-00
[5] 웹사이트 Top 100 Books of the 20th century, while there are several editions of the book. The publishers made a children's edition and a thicker adult edition. There are hardcovers and paperbacks, #26 http://www.wesseleny[...] 2009-07-28
[6] 웹사이트 Vive Anne Frank, vive le Domaine Public http://isabelleattar[...] 2016-01-01
[7] 뉴스 Anne Frank's diary published online amid dispute http://www.itweb.co.[...] 2016-01-05
[8] 뉴스 Anne Frank Diary Anniversary Marks the Day Holocaust Victim Received Autograph Book as a Birthday Present (PHOTO) http://www.huffingto[...] 2013-06-12
[9] 뉴스 Anne Frank's birthday on theme of diary's 70th anniversary http://www.annefrank[...] 2012-06-12
[10] 서적 Anne Frank: Beyond the Diary – A Photographic Remembrance Puffin
[11] 서적 Genocide in Anne Frank's The Diary of a Young Girl https://books.google[...] Greenhaven Publishing LLC
[12] 웹사이트 How Anne Frank's Diary Changed the World https://www.smithson[...] 2015-11-12
[13] 웹사이트 Anne Frank's 'The Diary of a Young Girl': When a 15-year-old showed us the Holocaust experience https://www.indiatod[...] 2018-08-11
[14] 뉴스 Anne Frank Biography (1929–1945) http://www.biography[...]
[15] 뉴스 The hiding place – A bookcase hides the entrance http://www.annefrank[...]
[16] 웹사이트 Fritz Pfeffer https://www.annefran[...] 2018-09-25
[17] 웹사이트 Anne Frank captured https://www.history.[...]
[18] 뉴스 Anne Frank's hidden diary pages: Risque jokes and sex education https://www.washingt[...] 2018-05-16
[19] 뉴스 Anne Frank may have been discovered by chance, new study says https://www.bbc.co.u[...] BBC News 2016-12-17
[20] 뉴스 Researchers say Anne Frank perished earlier than thought http://www.cnn.com/2[...] 2015-04-01
[21] 웹사이트 Ten questions on the authenticity of the diary of Anne Frank http://www.annefrank[...] Anne Frank Stichting
[22] 서적 The Diary of a Young Girl: The Definite Edition https://archive.org/[...] Bantam Books
[23] 서적 Anne Frank was niet alleen. Het Merwedeplein 1933–1945. Prometheus
[24] 웹사이트 'Ruski', Otto Frank wrote upon the liberation of camp Auschwitz https://www.annefran[...] 2020-01-21
[25] 뉴스 5 Things You Don't Know about Anne Frank and Her Diary http://history1900s.[...]
[26] 웹사이트 The Different Versions of Anne's Diary http://www.annefrank[...]
[27] 뉴스 Facts about The Diary of Anne Frank http://www.christian[...]
[28] 웹사이트 Quotes by Kathe Egyedi from Quotes.net http://www.quotes.ne[...]
[29] 웹사이트 Peter van Pels https://www.annefran[...] 2018-09-25
[30] 서적 Anne Frank: ''The Biography'' Metropolitan Books
[31] 웹사이트 Anne Frank's diary is published http://www.annefrank[...] Anne Frank House
[32] 서적 Anne Frank: Reflections on Her Life and Legacy
[33] 서적 The Hidden Life of Otto Frank Penguin
[34] 서적 The Tenth Muse: My Life in Food https://books.google[...] Knopf Doubleday Publishing
[35] 뉴스 The editor who didn't pass on Anne Frank; Jones recalls famous diary http://thejewishchro[...] 2009-00-00
[36] 서적 The World of Anne Frank: A Complete Resource Guide
[37] 서적 The Diary of Anne Frank: The Revised Critical Edition Doubleday
[38] 웹사이트 Anne Frank's Diary: The Graphic Adaptation https://www.amazon.c[...] Pantheon 2018-10-02
[39] 웹사이트 Origin http://www.annefrank[...] 2016-01-15
[40] 논문
[41] 뉴스 Recalling Anne Frank, as Icon and Human Being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4-11-04
[42] 웹사이트 The diary https://www.annefran[...] 2018-09-25
[43] 서적 Anne Frank: The Biography Metropolitan Books
[44] 웹사이트 Shelley Winters wins the Oscar for Best Supporting Actress for her role as Mrs van Pels in "The Diary of Anne Frank". http://www.annefrank[...] 2014-04-27
[45] 웹사이트 Anne celebrated its premiere in Hamburg https://www.annefran[...] 2018-06-01
[46] 웹사이트 The Diary of Anne Frank (Adaptation by Wendy Kesselman) http://www.samuelfre[...]
[47] 웹사이트 The Secret Annex brings a complex Anne Frank to life at RMTC | CBC News http://www.cbc.ca/ne[...]
[48] 웹사이트 Hidden Pages in Anne Frank's Diary Deciphered After 75 Years https://www.history.[...] 2019-07-23
[49] 학술지 Reading Anne Frank as a woman https://rcin.org.pl/[...] 1993-07
[50] 웹사이트 Censoring Anne Frank: how her famous diary has been edited through history https://www.historye[...]
[51] 학술지 Anne Frank's Diary, Unabridged https://www.nytimes.[...] 2013-05-03
[52] 학술지 Anne Frank's diary isn't pornographic – it just reveals an uncomfortable truth https://www.theguard[...] 2013-05-03
[53] 뉴스 Five precious pages renew wrangling over Anne Frank https://www.nytimes.[...] 2012-04-17
[54] 서적 Anne Frank: The Biography Henry Holt and Company
[55] 뉴스 Anne Frank's 'dirty jokes' uncovered https://www.bbc.co.u[...] BBC News 2018-05-15
[56] 뉴스 On This Day: Anne Frank's Diary Published https://www.findingd[...] 2011-06-25
[57] 웹사이트 Diaries of Anne Frank http://www.unesco.or[...]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18-10-09
[58] 인터뷰 How We've Used Anne Frank https://think.kera.o[...]
[59] 뉴스 Becoming Anne Frank https://www.smithson[...] 2018-11
[60] 뉴스 'Diary of Anne Frank' Vandalized at Japanese Librarie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4-02-21
[61] 뉴스 Pages torn from scores of copies of Anne Frank's diary in Tokyo libraries http://www.cnn.com/2[...] CNN 2014-02-21
[62] 웹사이트 Wiesenthal Center Expresses Shock and Deep Concern Over Mass Desecrations of The Diary of Anne Frank in Japanese Libraries http://www.wiesentha[...] 2014-02-20
[63] 뉴스 Israel donates hundreds of Anne Frank books to Tokyo libraries after vandalism http://www.cnn.com/2[...] CNN 2014-02-28
[64] 뉴스 Israel donates Anne Frank books to Japan after vandalism http://www.haaretz.c[...] Associated Press/Haaretz 2014-02-27
[65] 뉴스 Japan arrest over Anne Frank book vandalism https://www.bbc.com/[...] BBC 2014-03-11
[66] 뉴스 No charges for Japanese in Anne Frank diary vandalism case: Report http://www.straitsti[...] The Straits Times/AFP 2014-06-19
[67] 웹사이트 "中二病"の犯行ではない!? 被害は30年以上前から…図書館関係者が口に出せない『アンネの日記』破損事件の背景 http://otapol.jp/i/2[...] 2014-02-22
[68] 뉴스 Anne Frank diary offends Lebanon's Hezbollah https://www.ynetnews[...] Ynetnews 2009-06-11
[69] 뉴스 The Neverending Campaign to Ban 'Slaughterhouse Five' https://www.theatlan[...] The Atlantic 2011-08-12
[70] 뉴스 School system in Va. won't teach version of Anne Frank book https://www.washingt[...] 2010-01-29
[71] 뉴스 Northville mother files complaint about passages in the unedited version of ''The Diary of Anne Frank'' http://www.myfoxdetr[...] WJBK – Fox 2 News 2013-04-24
[72] 뉴스 Anne Frank's Diary in US schools censorship battle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3-05-07
[73] 뉴스 Texas teacher fired for showing Anne Frank graphic novel to eighth-grader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3-09-20
[74] 뉴스 Anne Frank's Diary Gains 'Co-Author' in Copyright Move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5-11-13
[75] 서적 Anne Frank: The Book, The Life, The Afterlife https://archive.org/[...] Harper 2009
[76] 논문 Is The Diary of Anne Frank genuine? http://www.ihr.org/j[...] 1982
[77] 뉴스 An Authenticated Edition of Anne Frank's Diary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9-06-08
[78] 뉴스 The Journal of Katherine Mansfield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6-12-02
[79] 웹사이트 Blaue paste (Blue paste) https://www.spiegel.[...] Der Spiegel 1980-10-05
[80] 웹사이트 ANNE FRANK'S DIARY: WRITTEN IN BALLPOINT PEN? https://www.hdot.org[...]
[81] 뉴스 An Authenticated Edition of Anne Frank's Diary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89-06-08
[82] 웹사이트 Work https://www.annefran[...]
[83] 법률문서 Court of Amsterdam {{ECLI|ECLI:NL:RBAMS[...] 2015-12-23
[84] 뉴스 Anne Frank's diary published online despite rights dispute, as 70 years since her death passes http://www.abc.net.a[...] ABC 2016-01-02
[85] 뉴스 Anne Frank: Diary of a Young Girl published online amid copyright dispute http://www.ibtimes.c[...] International Business Times 2016-01-02
[86] 웹사이트 The Atlantic Literary Review https://franklin.lib[...] Library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87] 서적 アンネ・フランク: 「隠れ家」で日記を書き続けた少女 偕成社 2003-07-01
[88] 웹사이트 『アンネの日記』など、ユネスコの「世界の記憶」として新たに登録 | カレントアウェアネス・ポータル https://current.ndl.[...] 国立国会図書館 関西館
[89] 웹사이트 About ballpoint pens http://inventors.abo[...] About.com
[90] 서적 The Diary of Anne Frank:The Revised Critical Edition Doubleday 2003
[91] 뉴스 Anne Franks Tagebuch ist UNESCO-Welterbe http://kurier.at/kul[...] kurier.at 2009-07-31
[92] 뉴스 「アンネの日記」、ユネスコが世界記憶遺産に登録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09-07-31
[93] 뉴스 「アンネの日記」オンライン公開、著作権で論争も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16-01-02
[94] 뉴스 「アンネの日記」が著作権切れで無料公開へ、アンネ・フランク財団は「法的措置を取る」と警告 https://gigazine.net[...] GIGAZINE 2016-01-04
[95] 웹사이트 Wikimedia Foundation removes The Diary of Anne Frank due to copyright law requirements https://diff.wikimed[...] Diff Wikimedia Foundation 2016-02-10
[96] 뉴스 著作権侵害申し立てを受け「アンネの日記」がWikisourceから削除される https://gigazine.net[...] GIGAZINE 2016-02-16
[97] 방송 名著36 「アンネの日記」 https://www.nhk.or.j[...] NHK
[98] 뉴스 「暗殺教室」「アンネの日記」漫画版を撤去 フロリダ公立校で相次ぐ https://news.yahoo.c[...] 朝日新聞 2023-04-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